-

- 교육 예약
-

- 대관 안내
-
- [250427] 서울에너지드림센터, ‘기후변화주간 및 지구의 날’ 캠페인 나서
- 서울에너지드림센터, ‘기후변화주간 및 지구의 날’ 캠페인 나서 - 4월 23일(수), 제17회 기후변화주간 기념 「지구의 불 끄기」 소등 관련 거리 캠페인 성료- 서울에너지드림센터~마포구청 일원 가두 캠페인 가지며 시민실천 및 소등행사 참여 독려- 기후변화주간 캠페인을 시작으로 ESG 실천 위한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추진키로 함 □ 서울에너지드림센터·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센터장 이용성)는 23일(수), 제17회 기후변화주간을 맞이하여 전직원이 ‘지구의 불 끄기’를 주제로 시민 참여 캠페인에 나섰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 위치한 국내 최초 에너지자립형 친환경 공공건물로, 서울 도심 속에서 환경·에너지·기후변화에 관련된 다양한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이다. ○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및 「서울특별시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광역환경교육센터(지정: ’24. 5. 2)로 지정된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환경학습도시 서울’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광역환경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드림센터는 제17회 기후변화주간 및 지구의 날을 기념하는 「지구의 불 끄기」 캠페인을 드림센터 및 인근 지역(월드컵경기장역~마포구청역 일원)에서 전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하였다. □ 드림센터는 「지구의 불 끄기」 주제의 캠페인을 가지며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알리고, 시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실천과 행동을 촉구했다.○ 드림센터 전직원은 폐종이박스 피켓 등 직접 만든 캠페인 소품을 들고, 월드컵경기장역, 마포구청역, 마포구청 일원에서 「지구의 불 끄기」와 관련한 캠페인을 가지며 시민 참여를 호소했다. ○ 특히 기후위기시대, 지구생태시민으로서 행동하는 지성을 촉구하며 탄소중립 실현과 모든 생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실천을 강조했다. □ 서울에너지드림센터·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이용성 센터장은 “이번 캠페인을 계기로 드림센터의 ESG 경영 및 실천 역량을 강화하고, 시민의 생태소양 및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캠페인 활동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히며, “2025년은 생태・환경 관련 기념일 연계형 「ESG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하여 시민참여형 캠페인 등 시민의 생태적 소양과 행동 촉진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한편,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지난 2023년, ESG 경영 관련 역량강화교육을 시작으로 제로에너지 공공건축물에 기반한 ESG 경영 강화 및 우수 ESG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5.04.27
-
- [250415] 서울에너지드림센터, 갯벌생태해설사 기본교육과정 개강
- 서울에너지드림센터, 갯벌생태해설사 기본교육과정 개강 - 대한민국 환경교육의 중심 ‘수도 서울’에서 갯벌생태해설사 양성과정 첫 출발 - 4월 12일(토)부터 13일의 교육여정, 총 13개 과목 80시간의 기본교육과정 시작 - 인류세와 기후위기 시대, 갯벌생태계 보전 및 현명한 습지 이용 등에 큰 역할 기대 □ 해양수산부 지정 국내 최초 갯벌생태해설사 양성기관인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서 4월 12일(토)을 시작으로 한 국내 첫 갯벌생태해설사 양성과정의 문을 열었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상암동 ‘평화의 공원’ 내 위치한 국내 최초 에너지자립형 친환경 공공건축물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인식 확산과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이다. 또한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광역환경교육센터)로 지정되어 ‘환경학습도시 서울’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해양수산부는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복원에 관한 법률」(약칭 : 갯벌법) 제30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6조에 따라 지난 2024년 10월, 서울에너지드림센터를 국내 최초 갯벌생태해설사 양성기관으로 지정하였다. ○ 이번에 개강한 갯벌생태해설사 양성과정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기본교육과정으로 4월 12일부터 5월 31일까지 서울에너지드림센터 및 수도권 내 갯벌 현장에서 매주 토·일요일에 거쳐 총 13일간 운영한다. □ 4개 분야, 13개과, 80시간으로 구성된 갯벌생태해설사 기본교육과정은 갯벌생태계부터 해설기획까지 이론 및 실습 과정으로 운영한다.○ 기본교육과정은 경력과 학력의 제한 없이 희망자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선착순 모집을 통해 교육생을 구성하였다. ○ 교육생은 ‘해설안내’, ‘갯벌생태계의 이해’, ‘인문사회환경의 이해’, ‘커뮤니케이션’ 등 총 4개 분야, 13개과, 80시간의 교육과정을 4월 12일부터 5월 31일까지 참여한다. ○ 총 13일의 교육여정 중 10일의 이론교육 및 실내실습은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서 진행하고, 3일의 현장실습은 시흥갯골(시흥갯벌), 오이도박물관, 오이도갯벌 등 갯벌 현장에서 진행한다. □ 이용성 센터장(서울에너지드림센터·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은 “인류세와 기후위기, 생태위기와 환경재난, 생물다양성협약(CBD)에 따른 보호지역 확대 등 이슈 속에서 갯벌생태해설사는 해양환경 보전 및 갯벌 생태계의 건강성 회복, 그리고 생태관광 등 습지의 현명한 이용 등과 관련하여, 생태적 인식 전환과 지구생태시민 양성의 촉진자로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라고 전하며 “앞으로도 전문성과 소양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며, 대한민국 환경교육의 중심이자 거점으로서 수도 서울의 광역환경교육센터가 갖는 의미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5.04.15
-
- [250413]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과 ‘시민 환경소양 증진’ 위한 협약 체결
-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과‘시민 환경소양 증진’ 위한 협약 체결 - 4월 11일(금), 양 기관 간 평생교육 및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 개최 - 평생학습 기반 협력 사업의 공동 개발 및 추진 등 평생 환경교육 계기 마련 - 양 기관의 발전을 위한 상호 자문 및 공유 등 인적·물적 교류 확대 기대□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센터장 이용성)은 11일(금),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원장 한용진)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평생학습 및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는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및 「서울특별시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 지정된 광역환경교육센터(지정: ’24. 5. 2)로 ‘환경학습도시 서울’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광역환경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은 「평생교육법」 및 「서울특별시 평생교육진흥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치된 시민 인재개발 교육기관으로 평생교육 진흥기관·지원기관·전문기관의 기능을 통해 서울형 평생학습 생태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양 기관은 환경교육 기반의 평생학습과 평생학습 기반의 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공동 발전과 우호 증진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 업무협약을 체결한 양 기관은 △환경 소양 함양을 지원하는 맞춤형 교육 사업 기획 △전문 인력 공유 △사업 추진을 위한 공간·시설 사용촉진 △홍보 캠페인 협력 △공동 발전을 위한 협력 사항 등을 협의하고 공유할 예정이다. □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이용성 센터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서울 환경교육의 거점인 광역환경교육센터와 평생교육의 거점인 평생교육진흥원 간 교류협력 활성화에 단초가 마련되었다.”며, “지속적인 상호 협력을 통해 환경교육-평생교육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평생학습 기반의 환경교육 체계화를 통해 생태·환경적 소양을 증진하는 서울형 환경교육의 모범사례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25.04.13
-
- [250405]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서울특별시 서부공원여가센터와 시민여가 프로그램 활성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서울특별시 서부공원여가센터와시민여가 프로그램 활성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월드컵공원(옛, 난지도) 환경교육 관련 시민여가 프로그램 활성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월드컵공원 일원의 환경 재생을 주제로 한 ‘신나는 에코투어’ 프로그램 공동 운영 협약 - 양 기관의 역량을 기반으로 생태 및 환경 주제 시민여가 프로그램 지속적 협력 예정□ 서울에너지드림센터(센터장 이용성)는 서울특별시 서부공원여가센터(소장 신현호)와 지난 4월 2일(수), 월드컵공원 일원의 환경교육 관련 시민여가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상암동 평화의 공원 내에 위치한 국내 최초의 에너지자립형 친환경 공공건물로, 서울 도심 속에서 환경·에너지·기후변화에 관련된 다양한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이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월드컵공원 일원의 특성을 반영한 「신나는 에코투어」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하고, 월드컵공원의 생태 및 환경을 주제로 한 시민 여가 프로그램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기로 하였다.○ 주요 협약 사항은 △「신나는 에코투어」 운영을 위한 협력 △체험 프로그램 공동 개발 및 운영 △ 공원 생태자원을 활용한 여가 프로그램 활성화 등이다.○ 특히, 「신나는 에코투어」는 서울에너지드림센터, 노을공원, 마포자원회수시설 등을 탐방하며 옛 난지도 일원의 환경 재생의 역사를 탐구하고, 생태적 회복에 기반한 시민환경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운영한다.○ 참고로, 「신나는 에코투어」는 4월부터 11월까지 평일(화~금요일) 기준 1일 2회(오전, 오후) 운영하며, 프로그램 신청은 서울에너지드림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옛 난지도 일원의 환경 재생 역사에 기초하여 기후위기 대응 등 관련 분야의 발전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모색함으로서 월드컵공원 일원의 환경교육 관련 시민여가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데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이용성 센터장은 “드림센터가 위치한 월드컵공원 일원은 옛 난지도의 생태적 회복을 확인할 수 있는 살아있는 교육장이라는 점에서, 이번 협약은 손상된 자연에 대한 생태적 회복과 시민의 노력을 확인하는 환경교육 프로그램 활성화와 시민환경의식 고취의 계기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전하며, “드림센터는 「신나는 에코투어」 등 옛 난지도의 일원의 생태적 회복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운영하며, 손상된 자연에 대한 응답능력으로서 책임감을 갖는 공존과 상생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하였다. □ 한편,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로 지정된 광역환경교육센터로서 서울특별시 환경교육 거점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25.04.09
-
- [250328] 서울에너지드림센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과 ‘신재생에너지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식확산’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50328] 서울에너지드림센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과 ‘신재생에너지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식확산’ 위한 업무협약 체결
작성자서울에너지드림센터
등록일2025.03.28
조회수32서울에너지드림센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과‘신재생에너지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식확산’ 위한 업무협약 체결 - 3월 28일(금), 신재생에너지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식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식 개최 - 양 기관 간 상호 협력체계 통한 신재생에너지 분야 인식확산 및 대학생 미래 역량 증진 계기 마련 - 양 기관의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 사업 추진 및 인적·물적 교류 확대 기대□ 서울에너지드림센터(센터장 이용성)는 3월 28일(금), 서울에너지드림센터(서울특별시 마포구 소재)에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단장 김경훈) 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신재생에너지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식확산을 위해 노력하기로 하였다. ○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 위치한 국내 최초 에너지자립형 친환경 공공건물로, 서울 도심 속에서 환경·에너지·기후변화에 관련된 다양한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이다. ○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은 지속 가능한 사회로의 더 빠르고 바른 전환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다양한 지속가능기술을 공부하고 홍보하는 대학생 비영리 네트워크 단체이다. □ 이번 협약을 계기로, 양 기관은 각각의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신재생에너지 및 제로에너지건축 인식확산을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하였다.○ 업무협약을 체결한 양 단체는 △신재생에너지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식확산 △신재생에너지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관련 사업 협력 확대 △양 기관의 역량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에 대한 협력 △시설, 인프라 등 보유 자원 및 정보 공유 △공동 발전을 위한 협력 사항 등을 협의하고 추진할 계획이다. □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이용성 센터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대학생의 사회참여 및 활동을 독려하고,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및 제로에너지건축물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인식 확산을 도모할 계획이다”고 전하며, “앞으로 양 기관의 협력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우리사회의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가능성 증진에도 더욱 노력하겠다”고 하였다. □ 한편,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로 지정(지정일 : 2024.5.2, 근거 : 환경교육법)된 광역환경교육센터로서 서울특별시 환경교육 거점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margin:0;padding:0;user-select:none}#content{display:grid;grid-template-rows:40px calc(100% - 55px) 15px;height:100%;grid-template-columns:100%;box-sizing:border-box}#header{overflow:hidden;z-index:2000;height:40px;margin-bottom:-1px;font-family:Helvetica,sans-serif;font-size:12px;line-height:1.25em;box-sizing:border-box;cursor:move}#header h1{margin-left:10px;height:39px;font-weight:normal;color:#878481;position:relative;display:inline-block;white-space:nowrap;box-sizing:border-box;padding:14px 5px;font-size:12px;letter-spacing:-0.05em;font-weight:normal;align-content:center}#header #opacity-bar{-webkit-appearance:none;position:absolute;right:35px;top:18px;width:50px;margin-right:10px}#header #opacity-bar:focus{outline:none}#header #opacity-bar::-webkit-slider-runnable-track{width:100%;height:3px;cursor:pointer;border-radius:2px;background:#878481}#header #opacity-bar::-webkit-slider-thumb{border:0px;border-radius:100%;height:10px;width:10px;background:#c3c2c0;cursor:pointer;-webkit-appearance:none;margin-top:-3px}.window-close{position:absolute;right:0;top:0;padding:10px;cursor:pointer}.window-close:hover{filter:brightness(0%)}#header:active::before{position:fixed;content:"";top:0;left:0;width:100vw;height:100vh;background-color:rgba(0,0,0,0)}table#main{overflow:hidden;width:100%;height:100%;min-height:44px;grid-template-rows:30px calc(100% - 30px);box-sizing:border-box;display:grid;border-spacing:2px;position:relative}table#main thead{border-bottom:1px solid #eee;margin:0 5px}table#main thead tr{display:grid;grid-template-columns:auto 75px 65px 75px;font-size:12px;line-height:1.7em;font-family:sans-serif}table#main thead tr th{clip:auto;height:34px;line-height:34px;font-size:12px;color:#878481;position:static !important;font-weight:normal}table#main tbody{overflow-y:scroll;height:100%;text-align:center}table#main tbody::-webkit-scrollbar{width:5px}table#main tbody::-webkit-scrollbar-thumb{background-color:rgba(135,132,129,.4);border-radius:5px}table#main tbody tr{display:grid;height:22px;grid-template-columns:auto 75px 65px 75px;font-size:12px;line-height:1.7em;font-family:sans-serif}table#main tbody tr td{padding-top:2px;font-size:12px;line-height:1.7em;font-family:sans-serif;color:#666;border-bottom:1px solid #eee}table#main tbody tr td:first-child{text-align:left;padding-left:15px;overflow:hidden;text-overflow:ellipsis;white-space:nowrap;margin-left:5px}table#main tbody tr td:nth-child(2){text-align:right;font-size:11px}table#main tbody tr td:nth-child(3){text-align:right;font-size:11px}table#main tbody tr td:nth-child(3).lower-stock{color:#017eff}table#main tbody tr td:nth-child(3).upper-stock{color:#e12301}table#main tbody tr td:nth-child(4){font-family:sans-serif;position:relative}table#main tbody tr td:nth-child(4) span{position:absolute;width:55px;height:22px;right:15px;text-align:right;font-size:11px}table#main tbody tr td:nth-child(4) span.lower-stock{color:#017eff}table#main tbody tr td:nth-child(4) span.upper-stock{color:#e12301}.icon{width:8px;margin-right:3px;display:inline-block;vertical-align:middle;overflow:hidden}*::-webkit-scrollbar:not(tbody){width:0}
undefined
종목
시세
전일비
등락률
25.04.09
-
- [250325]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에너지엑스와 ‘탄소중립을 위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식확산’ 업무협약 체결
- [250325]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에너지엑스와 ‘탄소중립을 위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식확산’ 업무협약 체결
작성자서울에너지드림센터
등록일2025.03.25
조회수24서울에너지드림센터, 에너지엑스와‘탄소중립을 위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식확산’ 업무협약 체결 - 제로에너지건축물 보급 확대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건축부문의 역할 강화 - 공공·민간 건축물의 친환경 전환 촉진을 위한 정책 및 기술적 협력 - 신재생에너지 건축 기술 보급과 정보 공유를 통한 2050 탄소중립 및 RE100 목표 달성 기여 - 탄소중립·녹색건축 정책과 연계한 협력사업 추진으로 지속 가능한 건축문화 확산□ 서울에너지드림센터(센터장 이용성)는 3월 21일(금) 에너지엑스(대표 홍두화)와 에너지엑스 DY빌딩(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2050 탄소중립 및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ESG 가치실현과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식확산을 위한 협력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 위치한 국내 최초 에너지자립형 친환경 공공건물로, 서울 도심 속에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제로에너지건축물의인식확산과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이다. ○ 에너지엑스는 국내 최초 제로에너지 플러스등급 인증을 받은, 세계적인 플러스에너지빌딩인 에너지엑스 DY빌딩으로 잘 알려진 기업으로, 에너지 최적화 솔루션을 제로에너지건축물 설계, 에너지효율화 컨설팅, 건물일체형태양광(BIPV), 그리고 인공지능 에너지관리시스템과 함께 제공하는 토종 국내 기술 기업이다. □ 서울에너지드림센터와 에너지엑스는 세계적으로 건축물 부문에서 발생하는 탄소 비율이 가장 높다는 점을 중심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이 탄소중립의 핵심 요소라는데 힘을 모으고자 공공 및 민간 건축물을 통해 제로에너지건축물 보급과 인식확산에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식확산을 위한 공공 및 민간 건축물 투어 및 홍보 프로그램 개발 ▲대국민 인식 제고를 위한 캠페인 공동 기획 ▲친환경 건축 기술 및 정책 공유 ▲국내 최초 LEED ZERO 건축 인증 등의 협력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이용성 센터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제로에너지건축물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실질적인 체험을 통해 탄소중립에서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는 건물의 변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건축문화가 확산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여 탄소중립을 통한 ESG 가치실현과 건물 에너지자립을 위한 다양한 사업에서 협력적 관계를 만들어가겠다."라고 밝혔다. □ 이에 에너지엑스 홍두화 대표는 국내 최초 제로에너지건축물인 서울에너지드림센터와의 협력사업은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인식확산과 가치 변화를 만들어가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며, 적극 협력과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협력의 폭을 넓히고, 친환경건축과 에너지 절감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앞장설 계획이다.
*{margin:0;padding:0;user-select:none}#content{display:grid;grid-template-rows:40px calc(100% - 55px) 15px;height:100%;grid-template-columns:100%;box-sizing:border-box}#header{overflow:hidden;z-index:2000;height:40px;margin-bottom:-1px;font-family:Helvetica,sans-serif;font-size:12px;line-height:1.25em;box-sizing:border-box;cursor:move}#header h1{margin-left:10px;height:39px;font-weight:normal;color:#878481;position:relative;display:inline-block;white-space:nowrap;box-sizing:border-box;padding:14px 5px;font-size:12px;letter-spacing:-0.05em;font-weight:normal;align-content:center}#header #opacity-bar{-webkit-appearance:none;position:absolute;right:35px;top:18px;width:50px;margin-right:10px}#header #opacity-bar:focus{outline:none}#header #opacity-bar::-webkit-slider-runnable-track{width:100%;height:3px;cursor:pointer;border-radius:2px;background:#878481}#header #opacity-bar::-webkit-slider-thumb{border:0px;border-radius:100%;height:10px;width:10px;background:#c3c2c0;cursor:pointer;-webkit-appearance:none;margin-top:-3px}.window-close{position:absolute;right:0;top:0;padding:10px;cursor:pointer}.window-close:hover{filter:brightness(0%)}#header:active::before{position:fixed;content:"";top:0;left:0;width:100vw;height:100vh;background-color:rgba(0,0,0,0)}table#main{overflow:hidden;width:100%;height:100%;min-height:44px;grid-template-rows:30px calc(100% - 30px);box-sizing:border-box;display:grid;border-spacing:2px;position:relative}table#main thead{border-bottom:1px solid #eee;margin:0 5px}table#main thead tr{display:grid;grid-template-columns:auto 75px 65px 75px;font-size:12px;line-height:1.7em;font-family:sans-serif}table#main thead tr th{clip:auto;height:34px;line-height:34px;font-size:12px;color:#878481;position:static !important;font-weight:normal}table#main tbody{overflow-y:scroll;height:100%;text-align:center}table#main tbody::-webkit-scrollbar{width:5px}table#main tbody::-webkit-scrollbar-thumb{background-color:rgba(135,132,129,.4);border-radius:5px}table#main tbody tr{display:grid;height:22px;grid-template-columns:auto 75px 65px 75px;font-size:12px;line-height:1.7em;font-family:sans-serif}table#main tbody tr td{padding-top:2px;font-size:12px;line-height:1.7em;font-family:sans-serif;color:#666;border-bottom:1px solid #eee}table#main tbody tr td:first-child{text-align:left;padding-left:15px;overflow:hidden;text-overflow:ellipsis;white-space:nowrap;margin-left:5px}table#main tbody tr td:nth-child(2){text-align:right;font-size:11px}table#main tbody tr td:nth-child(3){text-align:right;font-size:11px}table#main tbody tr td:nth-child(3).lower-stock{color:#017eff}table#main tbody tr td:nth-child(3).upper-stock{color:#e12301}table#main tbody tr td:nth-child(4){font-family:sans-serif;position:relative}table#main tbody tr td:nth-child(4) span{position:absolute;width:55px;height:22px;right:15px;text-align:right;font-size:11px}table#main tbody tr td:nth-child(4) span.lower-stock{color:#017eff}table#main tbody tr td:nth-child(4) span.upper-stock{color:#e12301}.icon{width:8px;margin-right:3px;display:inline-block;vertical-align:middle;overflow:hidden}*::-webkit-scrollbar:not(tbody){width:0}
undefined
종목
시세
전일비
등락률
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