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본문 하위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스크롤탑

홍보자료

보도자료 [251126]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2025년 사회환경교육 담당자 연수 성료

작성자서울에너지드림센터 등록일2025.11.26 조회수18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상·하반기 사회환경교육 담당자 연수>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2025년 사회환경교육 담당자 연수 성료


 

- 사회환경교육 담당자의 생태·환경적 소양 증진 위한 상·하반기 연수 운영

- 기후위기 시대, 생태전환 지향 연수 통한 기후소양 및 환경교육 주체 역량강화 추진

- 서울 환경교육 주체의 환경철학적 기반을 강화하여 지역환경교육의 방향성 확보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센터장 이용성)는 서울특별시 사회환경교육 담당자의 기후·생태 감수성 함양과 전문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환경교육 역량 강화 연수를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서 개최하였고, 서울지역 사회환경교육 관계자 약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료하였다. 이번 연수는 530(), 1120(). ·하반기로 나눠 개최되었다.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는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서울특별시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 지정된 광역환경교육센터(지정: ‘24. 5. 2.)환경학습도시 서울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광역환경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올해 연수는 사례 공유와 이론 기반의 교육으로 진행되었으며, 상반기에는 서울특별시 기초환경교육센터 및 사회환경교육기관 관계자 대상 역량 강화 연수(2과목 4시간), 하반기에는 서울특별시 사회환경교육 담당자(실무자, 자치구 공무원, 교육강사 및 활동가 등) 대상 역량 강화 연수(3과목 4.5시간)가 진행되었다.

 

지난 530()에 진행된 상반기 연수는 환경 의제를 반영한 서울형 환경교육유아 및 놀이 중심의 환경교육 교수법을 주제로 운영되었으며, 서울의 환경교육 방향성과 이해 증진 및 교수(촉진자)로서의 역할 인식을 통한 서울 환경교육 전문인력이자 교수자로서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촉진하는데 기여했다.

첫 번째 강의에서는 서울환경교육네트워크 민성환 공동대표가 서울시 환경 아젠다를 기반으로 한 서울형 환경교육의 방향성과 주요 과제를 제시하였고, 두 번째 강의에서는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남기원 교수가 유아 중심·놀이 중심 환경교육주제로 강의하며, 유아환경교육의 현장 사례와 함께 촉진자(퍼실리테이터)’의 관점에서 교수자(강사)의 역할을 이해하는 환경교육 교수법을 소개하였다.

상반기 연수는 서울형 환경교육에 대한 고민과 환경교육 현장에서 촉진자로서 교수자(강사)를 고민하는 시간을 제공하며, 연수를 매개로 한 사회환경교육 관계자의 역량 강화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1120()에 진행된 하반기 연수는 연결과 관계로 함께하는 기후환경교육이라는 주제를 인류세와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가져야 할 생태전환 중심의 환경철학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서울형 환경교육의 미래 방향을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 번째 강의를 담당한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경혜영 연구교수는 신유물론과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시각으로 들뢰즈와 과타리의 연합환경(milieu associé)의 관점의 환경교육을 이야기하며, 철학사조의 변화와 시대적 요구가 나은 생태전환적 철학과 환경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이야기하였다.

이어서 강의한 경기도교육연구원 엄수정 교육협력부장은 포스트휴먼 생태주의 관점에서 관계로 배우는 기후변화 교육을 설명하며 기후교육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관계·연결의 관점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포스트휴머니즘적 철학적 배경과 다양한 사례를 통해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강의한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이용성 센터장은 기후위기 대응과 적응을 위한 생태문명전환도시서울의 비전과 함께, 향후 서울 환경교육이 지향해야 할 전략과 실천 방향을 앞선 강의와 연계하여 생태적 전환과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틀 안에서 비인간 자연(존재)과의 공-(sym-bious), 그리고 공-(sym-poiesis)생태문명전환도시서울형 환경교육으로 제안하였다.

 

이용성 센터장(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서울특별시 광역환경교육센터의 사회환경교육 담당자 연수를 통해 사회환경교육 관계자가 기후·생태 소양감수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생태적 철학과 전환을 기반으로 한 실천 역량이 증진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전하며, “센터는 앞으로도 환경교육 관계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연수 과정을 지원하며, ‘생태전환도시 서울을 뒷받침하는 광역환경교육센터로서, 서울의 다양한 환경교육 주체와 서울형 환경교육의 철학과 방향을 만들어 가는 길에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썸네일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상반기 사회환경교육 담당자 연수 (1).jpg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