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본문 하위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스크롤탑

홍보자료

보도자료 [251118] 서울 광역환경교육센터-사회환경교육기관 2차 운영협의회 개최

작성자서울에너지드림센터 등록일2025.11.18 조회수24


 

 <서울특별시 광역센터-사회환경교육기관 2차 협의회 운영>


서울 광역환경교육센터-사회환경교육기관 2차 운영협의회 개최


 

-  광역센터-사회환경교육기관 간 교류 및 안건 논의를 통해 ’26년도 협의체 운영 방향성 설정

- 사회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의체 공동의제 발굴 및 협력협업 필요성 등 논의

- 공통의 목표 기반의 의제 발굴을 통해 서울 사회환경교육 활성화의 기대감 높여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센터장 이용성)는 지난 1113(), 서울에너지드림센터(마포구 증산로 14)에서 2025년 서울특별시 광역센터-사회환경교육기관 2차 운영협의회를 개최하여 사회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의회 운영 및 협력 방향성을 설정하는 시간을 가졌다.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이하 광역센터)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서울특별시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 지정된 광역환경교육센터로서, ‘환경학습도시 서울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광역환경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지정 사회환경교육기관은 202511월 기준 총 14개소로 마을언덕사회적협동조합 ()아름다운가게 ()녹색교육센터 ()샤인임팩트 국립공원공단 북한산사무소 ()한국환경교육협회 ()플레이31 ()에코플레이 한국환경공단 수도권서부환경본부 노원에코센터 중랑천환경센터 ()터치포굿 북한산생태탐방원(’25 신규) ()환경교육센터(’25 신규) 등이 지정되어 있으며, 공공 및 민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시민 대상 우수 환경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사회환경교육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국가환경교육 통합플랫폼(2025. 11. 18. 기준)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61개의 사회환경교육기관이 지정·운영되고 있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2025년도 광역센터-사회환경교육기관 간 협력 성과를 공유하고, 2026년도 지속적인 협의회 운영 방향성 설정 및 공동의제 발굴을 통한 상호협력 방안 등을 주요 안건으로 논의하였다.

사회를 맡은 권종휘 팀장(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은 참석자 소개와 회의 개요를 안내한 뒤, 사회환경교육기관 대상 주요 추진사업 공유와 지난 4월에 진행한 1차 협의회 운영 결과 및 공동협력사업(‘25년 서울특별시 지역 환경교육 거버넌스 협의회 워크숍) 추진 결과를 공유하였다.

이용성 센터장(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는 지난 1차 운영협의회에서 설정한 협의체의 목적과 방향을 바탕으로 2026년도 협의회 운영 방향, 협력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사회환경교육기관의 과제 환경교육 플랫폼으로서의 서울 광역의 역할 제안 다양한 영역의 사회환경교육기관 요구 파악을 위한 실태조사 및 자료집 제공 협의회 공동 목표 설정 및 역할 분담을 통한 단계적인 구조 마련 등 다양한 의제가 논의되었다.

 

이용성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장은 이번 협의회는 서울의 사회환경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고민하는 중요한 시간이었다, “2026년에는 사회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공통의 목표를 설정하고 단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광역센터-사회환경교육기관, 사회환경교육기관-사회환경교육기관 간의 협력을 더욱 촘촘히 강화할 수 있도록 광역센터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참고로, 광역환경교육센터와 사회환경교육기관(시도지사 지정) 간 협의체 운영을 통한 발전 방향 모색 사례는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가 전국 최초로 시도하고 있다.

썸네일 서울특별시 광역센터-사회환경교육기관 2차 운영협의회 개최 (2).jpg (대표)